MBTI, 유사과학일까?
청소년기자 이루리(곡란중2)

최근 온라인과 SNS상에서 유행하는 성격유형 검사가 있다. 바로 'MBTI' 검사이다. MBTI란 외향-내향(E-I), 감각-직관(S-N), 사고-감정(T-F), 판단-인식(J-P) 4가지의 분류 기준으로 결과에 따라 16가지 유형 중 하나로 분류한다. MBTI 검사로 자신의 성격과 특징은 물론 주기능과 열등기능도 알 수 있다.
최근에는 유튜브와 예능 프로그램 같은 플랫폼에서도 ‘MBTI 별 상황 반응’, ‘MBTI 별 팀플유형’과 같이 많은 콘텐츠들이 생산되고 있으며 높은 조회수로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MBTI 유형으로 진로에 대한 분석을 하기도 한다. 심지어는 MBTI 유형을 새긴 티셔츠도 판매되고 있다.
MBTI는 나의 성격을 알고 타인의 성격도 MBTI 유형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나와 타인을 더 이해할 수 있고 함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하지만 검사결과를 맹신하거나 과몰입 해서는 안 된다. MBTI 유형으로 자신을 단정 짓거나, 자신의 단점을 ‘나는 무슨 유형이라서 이래’ 라는 식으로 생각하는 건 좋지 않다. MBTI는 하나의 심리검사일 뿐 누군가를 완전히 나타내는 지표는 아니기 때문에, 자신에 대해 더 잘 알 수 있게 도움을 주는 도구로 생각해야 할 것이다.